
위기관리 10계명
전성철(IGM 세계경영연구원 회장) 외 지음, 웅진윙스, 초판 2쇄 2011년 9월 20일
1. 읽게 된 목적
상사님의 권유리스트
2. 요약
(1) 내용
조직의 위기 대처법
(2) 내 감상과 평점 3.5, 다시 읽을 의향 있음. 다만 요약된 내용만 봐도 충분
저자의 많은 실전 경험과 잘 짜여진 스텝별 대응책이 쉽게 습득되는 느낌.
(3) 추가로 읽어볼 책
3. 주목할 만한 문구(사실과 의미)
(1) 사실
6p 1995년 1월부터 7월까지 온 나라를 요동치게 했던 소위 ‘사법개혁’당시 청와대 정책기획실의 선임비서관으로 있으면서 이 개혁을 실무적으로 총괄했다. 우리 나라의 최대 권력집단이었던 검찰과 법원을 상대로 하는 개혁은 참으로 지난한 작업이었다. 매년 배출되는 법조인 수를 현행 300명에서 1000명으로 세배 이상 늘리고 또 로스쿨을 도입하자는 개혁안은 법조계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었다.
23p 1989년 당시 삼양식품은 라면시장의 60퍼센트를 점유하고 있던 우량회사였다. 면을 튀길 때 사용하는 공업용 우지를 사용한 것은 맞지만, 흔히 사용하는 고급기름이었음에도 법원에서 사실이 밝혀지기까지 5년이 걸림.
1998년의 우림농산 골뱅이 통조림 사건
2004년 만두공장의 비위생적인 단무지 제조과정 촬영 사건.
27p 2008년 6월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는 15%, 미국의 닉슨 대통령이 워터게이트사건으로 하야할 당시 지지도는 30퍼센트 전후.
28p 존슨앤존슨 1982년 정신병자가 청산가리를 타이레놀 제조과정에 주입하여 7명이 사망, 지역과 상관없이 전량 리콜, 새로운 포장방법 개발하여 재판매.
139p 2001년 9월 11일 오전 8시 48분 미국 뉴욕 세계무역센터 110층 쌍둥이 빌딩 북쪽 상층부에92명이 탑승한 여객기가 충돌했다. 그로부터 15분 후 다른 여객기가 발 옆 건물로 돌진했다.
(2) 의미
10p 위기라는 것은 사회와 기업이 그 이전까지 맺고 있던 관계를 재정립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32p 이해관계자들이 기업에 대해 가지는 견해는 크게 두가지 중 하나다. 하나는 bad guy(나쁜 기업), 다른 하나는 good guy(본질적으로는 좋은 기업)이다. 즉 위기 상황을 초래할만한 짓을 하는 나쁜 기업이거나 운이 없어서 사고를 당한 좋은 기업(Good guy in Misfortune:GGIM)이라는 이미지다.
103p 위기상황을 지휘하는 경영자라면 첫 24시간 동안 적어도 다음의 다섯가지 조치를 취해야 한다.
-피해자 구제와 피해확산의 방지
-입의 단일화 및 내부 단속
-대변인 선정
-공식적인 첫 입장 표명
-추가적인 조치
125p- 위기관리의 필수요소 TASCINE(Team, Action, Story, Communication, Intelligence, Negotiation, Ending)
'[상시] 우공이산 > 읽은 책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씽 (The One Thing) (1) | 2023.11.14 |
---|---|
왜 일하는가 (4) | 2023.11.08 |
나만을 위한 레이달리오의 원칙 (1) | 2023.06.06 |
두려움 없는 조직 (1) | 2023.05.30 |
설득하지 말고 납득하게 하라 (0) | 2023.05.25 |